1. 문제 설명
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시작점에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계단을 밟아 도착점에 도달하면
총 점수는 10 + 20 + 25 + 20 = 75점이 된다.
계단 오르는 데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다.
- 계단은 한 번에 한 계단씩 또는 두 계단씩 오를 수 있다.
즉, 한 계단을 밟으면서 이어서 다음 계단이나, 다음 다음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 - 연속된 세 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 된다. 단, 시작점은 계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 마지막 도착 계단은 반드시 밟아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두 번째 계단이나, 세 번째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
하지만,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네 번째 계단으로 올라가거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계단을 연속해서 모두 밟을 수는 없다.
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질 때 이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의 첫째 줄에 계단의 개수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제일 아래에 놓인 계단부터 순서대로 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진다. 계단의 개수는 300이하의 자연수이고,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는 10,000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계단 오르기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2. 풀이 전 계획과 생각
입력
- N → 계단의 개수
- stairs_score → 각 계단에 쓰여있는 점수들 (1차원 배열)
문제 조건
- 계단은 한 번에 한 계단씩 또는 두 계단씩 오를 수 있다.
- 연속된 세 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 된다. 단, 시작점은 계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 마지막 도착 계단은 반드시 밟아야 한다.
- 지금까지 고려한 숫자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 그리고 연속된 세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된다는 조건이 있다.
⇒ 지금까지 연속해서 몇개의 계단을 밟았는지 알아야 한다.
점화식
- 문제 정의
dp[i][j]에 대한 정의를
'i번째 계단까지 고려했고, 현재 연속해서 j개 계단을 밟았다고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결과'라고 정의하자. - 최종적으로 구하고자 하는 바
max(dp[N][1], dp[N][2]) - 점화식 정의
- 연속해서 몇개의 계단을 밟아왔는지에 따라 다르게 처리해주어야 한다.
- 연속해서 2번째면, 이전 연속해서 첫번째에 지금 계단 점수를 더한다.
dp[i][j] = dp[i - 1][1] + stairs_score[i] - 연속해서 첫번째면, 이이전 연속 2번째와 연속 1번째 중 최댓값에서 지금 계단 점수를 더한다.
dp[i][j] = max(dp[i - 2][1], dp[i - 2][2]) + stairs_score[i]
- 연속해서 2번째면, 이전 연속해서 첫번째에 지금 계단 점수를 더한다.
- 연속해서 몇개의 계단을 밟아왔는지에 따라 다르게 처리해주어야 한다.
- base 조건
- 마지막 도착 계단은 반드시 밟아야 한다.
- dp[1][1] = stairs_score[1]
- dp[2][1] = stairs_score[2]
- dp[2][2] = stairs_score[1] + stairs_score[2]
3. 풀이
N = int(input())
stairs_score = [0] * (N + 1)
for i in range(1, N + 1):
stairs_score[i] = int(input())
dp = [[0] * 3 for _ in range(N + 1)]
dp[1][1] = stairs_score[1]
if N >= 2:
dp[2][1] = stairs_score[2]
dp[2][2] = stairs_score[1] + stairs_score[2]
for i in range(3, N + 1):
for j in range(1, 3):
if j == 2:
dp[i][j] = dp[i - 1][1] + stairs_score[i]
elif j == 1:
dp[i][j] = max(dp[i - 2][1], dp[i - 2][2]) + stairs_score[i]
print(max(dp[N][1], dp[N][2]))
4. 다른 풀이
N번째 계단에 도착하여 얻는 최대점수
dp[i][0] : i-1번째 계단을 밟지 않고, i번째 계단에 도착하여 얻는 최대 점수
dp[i][1] : i-1번째 계단을 밟고서, i번째 계단에 도착하여 얻는 최대 점수
구하고자 하는 값 max(dp[N][0], dp[N][1])
dp[1][0] = 10
dp[2][0] = 20
dp[2][1] = 30
n = int(input())
a= [0] * n
for i in range(n):
a[i] = int(input())
dy = [[0, 0] for _ in range(n + 2)]
# 초기값 채우기
dy[0][0], dy[0][1] = 0, a[0]
if n >= 2:
dy[1][0], dy[1][1] = a[1], a[0] + a[1]
# 점화식을 토대로 dy 배열 채우기
for i in range(2, n):
dy[i][0] = max(dy[i - 2][0] + a[i], dy[i - 2][1] + a[i])
dy[i][1] = dy[i - 1][0] + a[i]
print(max(dy[n - 1][0], dy[n - 1][1]))
5. 풀이 후 알게된 개념과 소감
- 작은 문제에서 큰 문제로 풀기 위해서는 문제 조건에 따라 충분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태값을 정의하면 된다.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합승 택시 요금 (2021 KAKAO BLIND) / python (0) | 2022.05.13 |
---|---|
[백준] 3584 :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 / python (0) | 2022.05.09 |
[백준] 9095 : 1, 2, 3 더하기 / python (0) | 2022.05.02 |
[프로그래머스] 보석 쇼핑 (2020 KAKAO INTERNSHIP) / python (0) | 2022.04.28 |
[SWEA] 등산로 조성 (모의 SW 역량 테스트) / python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