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설명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2
4 1 3
5
6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 가로 크기 M (1 ≤ N, M ≤ 20),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 x, y(0 ≤ x ≤ N-1, 0 ≤ y ≤ M-1), 그리고 명령의 개수 K (1 ≤ K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에 쓰여 있는 수가 북쪽부터 남쪽으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주사위를 놓은 칸에 쓰여 있는 수는 항상 0이다. 지도의 각 칸에 쓰여 있는 수는 10 미만의 자연수 또는 0이다.
마지막 줄에는 이동하는 명령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동쪽은 1, 서쪽은 2, 북쪽은 3, 남쪽은 4로 주어진다.
출력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 있는 수를 출력한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2. 풀이 전 계획과 생각
- 지도의 크기 N * M (세로 * 가로)
- 주사위 좌표 → (x, y)
- 방향 → 배열
- 지도 → 2차원 배열
- 지도의 값 → 2차원 배열의 각 index의 value
- 이동 → 큐에 넣기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의 윗면에 쓰여져 있는 수를 출력해주자.
3. 풀이하면서 막혔던 점과 고민
🤔 동서남북 바뀔 때마다 주사위 숫자가 달라지고, 동서남북 위치의 숫자들이 달라지는데,
어떻게 처리 해주면 좋을까?
💡 이동할 때마다 주사위 전개도의 값이 어떻게 바뀌는지 패턴을 찾아주자.
패턴 찾기
- 기준 주사위
2
4 1 3
5
6
→ 동쪽으로 이동 (시계 방향으로 한칸씩 이동)
2
6 4 1 [1][0][1][1][1][2]
5
3 [3][1]
→ 서쪽으로 이동 (반시계 방향으로 한칸씩 이동)
2
1 3 6
5
4
→ 남쪽으로 이동 (직선 부분이 아래로 한칸씩 이동)
6
4 2 3
1
5
→ 북쪽으로 이동 (직선 부분이 위로 한칸씩 이동)
1
4 5 3
6
2
- 입력을 받는다. (지도 크기, 현재 좌표, 명령어의 갯수)
지도 입력, 명령 입력 (그래프 저장) (리스트에 저장)
dx = [0, 0, 0, 1, -1]
dy = [0, 1, -1, 0, 0] - 주사위 전개도를 2차원으로 나타내어 값을 초기화해준다.
- 명령어를 담은 큐가 빌때까지 아래를 반복한다.
- 주사위를 굴렀을 때, 주사위 배열을 변경해준다.
- 동쪽으로 이동
[1][0] = [3][1] [1][1] = [1][0] [1][2] = [1][1] [3][1] = [1][2] - 서쪽으로 이동
[1][0] = [1][1] [1][1] = [1][2] [1][2] = [3][1] [3][1] = [1][0] - 북쪽으로 이동
[0][1] = [1][1] [1][1] = [2][1] [2][1] = [3][1] [3][1] = [0][1] - 남쪽으로 이동
[0][1] = [3][1] [1][1] = [0][1] [2][1] = [1][1] [3][1] = [2][1]
- 동쪽으로 이동
- (1) 좌표가 0 ≤ y, x ≤ N 이면,
- 만약에 그래프 값이 0이면, 주사위 배열의[3][1]를 그래프 좌표에 넣는다.
- 만약에 그래프 값이 0이 아니면, 주사위 배열[3][1]에 해당 그래프 값을 넣는다.
- 주사위 배열[1][1]을 출력해준다.
- 주사위를 굴렀을 때, 주사위 배열을 변경해준다.
4. 첫번째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graph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command = list(map(int, input().split()))
dy = [0, 1, -1, 0, 0]
dx = [0, 0, 0, -1, 1]
dice = [[0, 0, 0],
[0, 0, 0],
[0, 0, 0],
[0, 0, 0]]
while command:
direction = command.pop(0)
nx, ny = x + dx[direction], y + dy[direction]
temp01, temp10, temp11, temp12, temp21, temp31 = dice[0][1], dice[1][0], dice[1][1], dice[1][2], dice[2][1], dice[3][1]
if direction == 1:
dice[1][0], dice[1][1], dice[1][2], dice[3][1] = temp31, temp10, temp11, temp12
elif direction == 2:
dice[1][0], dice[1][1], dice[1][2], dice[3][1] = temp11, temp12, temp31, temp10
elif direction == 3:
dice[0][1], dice[1][1], dice[2][1], dice[3][1] = temp11, temp21, temp31, temp01
elif direction == 4:
dice[0][1], dice[1][1], dice[2][1], dice[3][1] = temp31, temp01, temp11, temp21
if 0 <= nx < N and 0 <= ny < M:
x, y = nx, ny
if graph[x][y] == 0:
graph[x][y] = dice[3][1]
else:
dice[3][1] = graph[x][y]
graph[x][y] = 0
print(dice[1][1])
틀렸습니다.
예제 입력 3이 다른 값이 나온다. 오류의 원인을 찾아보자. 🔎
→ 💡 앗 무조건 주사위는 굴러간다고 생각했는데 움직이는 주체가 주사위다.
주사위는 이동밖으로 나가면 안되니, 주사위도 다음좌표가 유효한 범위 안에 있을 때만 변해야 한다.
5. 두번째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graph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command = list(map(int, input().split()))
dy = [0, 1, -1, 0, 0]
dx = [0, 0, 0, -1, 1]
dice = [[0, 0, 0],
[0, 0, 0],
[0, 0, 0],
[0, 0, 0]]
while command:
direction = command.pop(0)
nx, ny = x + dx[direction], y + dy[direction]
temp01, temp10, temp11, temp12, temp21, temp31 = dice[0][1], dice[1][0], dice[1][1], dice[1][2], dice[2][1], dice[3][1]
if 0 <= nx < N and 0 <= ny < M:
if direction == 1:
dice[1][0], dice[1][1], dice[1][2], dice[3][1] = temp31, temp10, temp11, temp12
elif direction == 2:
dice[1][0], dice[1][1], dice[1][2], dice[3][1] = temp11, temp12, temp31, temp10
elif direction == 3:
dice[0][1], dice[1][1], dice[2][1], dice[3][1] = temp11, temp21, temp31, temp01
elif direction == 4:
dice[0][1], dice[1][1], dice[2][1], dice[3][1] = temp31, temp01, temp11, temp21
x, y = nx, ny
if graph[x][y] == 0:
graph[x][y] = dice[3][1]
else:
dice[3][1] = graph[x][y]
graph[x][y] = 0
print(dice[1][1])
6. 풀이 후 알게된 개념과 소감
- 행위의 규칙성은 존재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자료구조에 넣어서 규칙성을 파악해줄 수가 있고,
규칙성을 코드로 간단히 나타낼 수가 있다.
공식을 만들어서 값을 추적하려고 하지말고, 먼저 규칙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화 해주자. - 문제에서 간혹 가로, 세로 x, y축이 반대인 경우도 있으니 잘보자.
그리고 0부터 시작하는지 1부터 시작하는지 잘보고 풀자.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7576 : 토마토 / python (0) | 2022.02.25 |
---|---|
[백준] 14888 : 연산자 끼워넣기 (삼성 SW 역량 테스트) / python (0) | 2022.02.20 |
[백준] 9251 : LCS / python (0) | 2022.02.18 |
[백준] 2636 : 치즈 / python (0) | 2022.02.17 |
[백준] 10815 : 숫자 카드 / python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