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쟁이야
감사쟁이의 성장기록
감사쟁이야
  • 분류 전체보기 (130)
    • Java-Spring (0)
    • ComputerScience (0)
    • Project (64)
      • TIL, WIL (57)
      • Project Retrospect (7)
    • Problem Solving (63)
    • Book Review (1)
    • Culture & Discovery (0)
    • Daily Log (2)

블로그 메뉴

  • 홈
  • 깃허브
  • 방명록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감사쟁이야

감사쟁이의 성장기록

TIL(5) 21-09-17 : 메타인지
Project/TIL, WIL

TIL(5) 21-09-17 : 메타인지

2021. 9. 23. 18:50

오늘 배운 것

오늘은 전반적으로 메타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는 하루였다.

TIL 작성

  • 내가 배운 것을 잘 적기 위해서, 메타인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낀다.
  • 회고 (K : Keep P : Problem T: Try) 
    • 잘하고 있는 것과 잘하고 있다고 느낀 이유
    • 문제, 오류
    • 내가 시도한 것과 어떤 것을 개선해 나갈까?
    • KPT를 사용해보면서, 잘하고 있고 유지할 것이 무엇인지, 개선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면서 자기를 파악하는데 좋은 도구임을 느꼈다.
    • TIL 작성할 때, KPT 활용해보자.
  • 오늘 배운 것을 나만의 언어로 적어보자. 나만의 방식으로 적용한 것도 적어보자.
  • 매일 아침에 팀원들과 배우고 적용한 것과 해결한 것을 설명해보자.

Rubber Duck Debugging

  • 코드를 디버깅하는 방법이다. 프로그래머가 구현하다가 막힐 때, 다른 사람에게 물어 보기 전에 Rubber Duck에게 코드를 한 줄씩 설명하여 스스로 해결책을 찾는 기법이다.
  • 이것 또한, 메타인지(내가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지 아는 것) 방식이다.
    학습에 있어, 문제를 잘 정의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 나도 문제가 잘 정의되지 않을 때, 오리에게 문제가 왜 발생했는지 설명도 하면서 문제를 정의해봐야지. 🐥

학습 목표 정하면서 하기

  • 학습 목표 <점검하는 시간>을 정하자. EX) 30분, 50분 ... 짧을 수록 좋다.
  • 학습 목표 <난이도>는 Grey 정도로 정하자.
  • 난이도 조절하는 능력, 마감을 잘 지키는 능력이 중요하다.

 

 

'Project > TIL,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7) 21-09-24 : POC 프로젝트란  (0) 2021.09.25
TIL(6) 21-09-23 : POC 프로젝트 시작  (0) 2021.09.23
TIL(4) 21-09-16 : Git 작업방식 이해  (0) 2021.09.23
TIL(3) 21-09-15 : API 설계, 포트 포워딩, Meta Tag  (0) 2021.09.23
TIL(2) 21-09-14 : 서버와 클라이언트 통신  (0) 2021.09.15
    'Project/TIL,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7) 21-09-24 : POC 프로젝트란
    • TIL(6) 21-09-23 : POC 프로젝트 시작
    • TIL(4) 21-09-16 : Git 작업방식 이해
    • TIL(3) 21-09-15 : API 설계, 포트 포워딩, Meta Tag
    감사쟁이야
    감사쟁이야
    sunzero0116@gmail.co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