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1 Page)
감사쟁이의 성장기록
Team Project/TIL, WIL
TIL(34) 21-11-04 : JPA를 이용하여 CRUD 기능 구현
2021.11.04
Facts ✅ JPA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CRUD 기능을 구현 ✅ 클라이언트 화면 추가 Findings ✏️ Lombok Lombok : 자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거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메소드/생성자 등을 자동생성해줌으로써 코드를 절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Getter : object의 Getter 메소드를 자동으로 생성 @NoArgsConstructor : parameter가 없는 기본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 @RequiredArgsConstructor : final이나 @NoNull인 필드값만 paramter로 받는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 ✏️ DTO 데이터(ex. 객체)를 주고 받을 때, Entity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DTO가 나왔다. 🤔 W..
Team Project/TIL, WIL
TIL(33) 21-11-03 : Spring 시작
2021.11.03
Facts ✅ TDP Service를 Sam famework를 사용하여 Serverless로 배포 ✅ Spring 프레임워크의 기본 레이어(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이해 ✅ JPA 이해 Findings ✏️ 기본 레이어 스프링에서 서버를 개발할 때, 처리 과정을 3개로 분리해서 개발한다. 분리하는 이유는, 코드가 변경이 되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게 하여, 확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역할별로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로 분리한다. (1) Controller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음 요청에 대한 처리는 서비스에게 전담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2) Service 서버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 처리하는 핵심 기능 DB 정보가 필요할 때는 Reposit..
Team Project/TIL, WIL
TIL(32) 21-11-02 : Authentication 수정 완료
2021.11.02
Facts ✅ "TDP 프로젝트" Authentication 수정하기 (Token 저장 위치를 Cookie에서 Local Storage로 저장) ✅ Authorization : Token을 Storage에 저장하는 이유 포스팅 Findings 우리는 Token을 Local Storage에 저장하기로 했다. Why? 로그인 유지 기능을 위해서다. 🤔 Local Storage는 만료기한 없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괜찮은가 의문이 들 수 있다. 💡 Token에 유효기간을 넣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인가하지 못함으로 Local Storage에 저장해도 상관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만료된 토큰의 경우, 해당 토큰을 삭제 처리를 해주면 된다고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Token이라는 친구는 탈취당하면, 해당 T..
Team Project/TIL, WIL
TIL(31) 21-11-01 : SAM 프레임워크로 서버리스 배포하기
2021.11.01
Facts ✅ AWS 에서 제공하는 SAM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이해하기 ✅ SAM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서버리스 배포하기 ✅ 서버사이드 렌더링 제거하기 Findings ✏️ SAM을 이용한 Lambda 관리하기 SAM :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 👉🏻 간단한 YAML 템플릿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Lambda 함수, API 엔드포인트, DynamoDB 테이블 및 기타 리소스)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단축 구문을 제공한다. Lambda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Lambda를 통해 서버리스 백엔드를 구축할 때, 설정할 것들이 너무 많았다. 하지만, SAM을 통해서는, 코드를 배포함으로, 인프라를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을 Ia..
Team Project/TIL, WIL
TIL(30) 21-10-29 : 서버리스 백엔드로 게시판 API 만들기
2021.10.29
💫 Facts ✅ Lambda와 (+VPC + NAT + SecretsManager + Proxy + S3 +RDS) 연동해서 인프라 구성하기 NAT 게이트웨이를 이용해 외부 인터넷 연결 ✅ Lambda를 이용해 실제 API 만들기 ✅ API를 사용한 게시판 만들기 💫 Findings ✔️ Lambda와 (+VPC + NAT + SecretsManager + Proxy + S3 +RDS) 연동 Lambda 함수에서 RDS 연결은 Dateproxy를 사용하도록 권장해서 Lambda에 VPC 추가를 한다. Lambda 함수에 VPC를 연동하면 외부통신이 되지 않는다. 외부통신을 하기 위해서 지정한 서브넷에 NAT 게이트웨이를 설정한다. 🤔 인프라 구성할 때, VPC와 NAT까지 설정까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