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감사쟁이의 성장기록
Problem Solving
[프로그래머스] 후보키 (2019 KAKAO BLIND) / python
2022.07.21
1.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제이지를 위해, 아래와 같은 학생들의 인적사항이 주어졌을 때, 후보 키의 최대 개수를 구하라. 위의 예를 설명하면, 학생의 인적사항 릴레이션에서 모든 학생은 각자 유일한 "학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번"은 릴레이션의 후보 키가 될 수 있다. 그다음 "이름"에 대해서는 같은 이름("apeach")을 사용하는 학생이 있기 때문에, "이름"은 후보 키가 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이름", "전공"]을 함께 사용한다면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 가능하므로 후보 키가 될 수 있게..
Problem Solving
[백준] 2616 : 소형기관차 / python
2022.07.18
1. 문제 설명 2616번: 소형기관차 첫째 줄에 기관차가 끌고 가던 객차의 수가 입력된다. 그 수는 5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기관차가 끌고 가던 객차에 타고 있는 손님의 수가 1번 객차부터 차례로 입력된다. 한 객차에 타고 있 www.acmicpc.net 기차는 맨 앞에 있는 기관차 1대가 손님이 탄 객차 여러 칸을 끌고 간다. 기관차가 고장나면 기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되므로 최근 철도청은 기관차 고장에 대비하여 몇몇 역에 소형 기관차 3대를 배치하기로 결정하였다. 소형 기관차는 평소에 이용하는 기관차보다 훨씬 적은 수의 객차만을 끌 수 있다. 기관차가 고장났을 때 끌고 가던 객차 모두를 소형 기관차 3대가 나누어 끌 수 없기 때문에, 소형 기관차들이 어떤 객차들을 끌고 가는 것이 좋을까하는..
Problem Solving
[프로그래머스] 양궁 대회 (2022 KAKAO BLIND) / python
2022.07.16
1. 문제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2. 풀이 전 계획과 생각 입력의 형식을 파악 후 어떤 식으로 저장할지 생각 N → 화살의 개수 info → 어피치가 맞힌 과녁 점수의 개수를 순서대로 담은 배열 (10점부터 0점까지) 구하고자 하는 바 이때, 라이언이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우승하기 위해 n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정수 배열 리턴 만약, 라이언이 우승할 수 없는 경우(무조건 지거나 비기는 경우)는 [-1]을 리턴 행위의 규칙성, 패턴 파악 완전탐색으로 먼저 접근해보자. N발 마다 라..
Problem Solving
[백준] 15684 : 사다리 조작 (삼성 SW 역량 테스트) / python
2022.07.05
1. 문제 설명 15684번: 사다리 조작 사다리 게임은 N개의 세로선과 M개의 가로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접한 세로선 사이에는 가로선을 놓을 수 있는데, 각각의 세로선마다 가로선을 놓을 수 있는 위치의 개수는 H이고, 모든 세로선 www.acmicpc.net 입력 N → 세로선의 갯수 (2 ≤ N ≤ 10) M → 가로선의 갯수 (0 ≤ M ≤ (N-1)×H) H → 세로선마다 가로선을 놓을 수 있는 위치의 갯수 (1 ≤ H ≤ 30) lines → 가로선의 정보 → (a, b) X M개 (1 ≤ a ≤ H, 1 ≤ b ≤ N-1) b번 세로선과 b+1번 세로선을 a번 점선 위치에서 연결 제한조건 두 가로선이 연속하거나 접하면 안된다. 구하고자 하는 바 사다리에 가로선을 추가해서 i번 세로선의 결과가..
Book Review
나를 알고 싶을 때 뇌과학을 공부합니다 (질 볼트 테일러)
2022.07.02
이 책은 뇌 연구를 하던 질 볼트 테이러 박사가 갑작스러운 뇌졸중을 겪으면서,뇌 기능이 멈추는 것을 지켜본 경험과 뇌세포가 회복하면서 얻게 된 통찰들을 기록한 책이다. 뇌 속에 있는 다양한 성격을 신경망 관점에서 설명하며,다채로운 성격을 우리 삶에 적절하게 사용하여 삶의 주인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는 '나'를 알고 싶으면, '나'를 관찰하라고 한다.관찰하는 방법은 자기 내면을 집중하는 시간을 가지고, 기록해보는 것이다.또한, 자신과 대화함으로(저자는 '두뇌 회담'이라고 표현)뇌 속에 있는 다양한 성격과 능력을 우리 삶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전에는 나는 뇌가 여러 영역이 있다고는 생각했지만, 이분법적으로 뇌를 인식했었다."뇌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고, 좌뇌는 논리적..